부동산 (243)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울 재건축 5주 연속 하락…‘9·13 악몽’ 되살아나나 정부의 강력한 규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서울 재건축 아파트가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9·13 대책의 충격 때와 같이 재건축을 중심으로 침체기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5일 부동산114의 주간 아파트 시장동향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7% 떨어지며 5주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 3월말(-0.01%) 약세로 전환한 이후 낙폭을 점차 확대해 가는 모습이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의 경우 이번주 -0.18%를 기록하며, 전주(-0.15 %)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2월 첫째주 이후 금주까지 두 번(2월 마지막주, 3월 셋째주)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주간동향에서 하락이 나타났다. 서울 재건축의 경우 지난 9·13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용도지역 변경기준 개선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시가 역세권 청년주택 용도지역 변경기준을 개선한다고 24일 밝혔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를 입대주택(공공·민간)으로 지어 대학생과 청년, 신혼부부에게 우선 공급하는 주거정책이다.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역세권 내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서만 참여가 가능한데, 그동안 2·3종 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의 용도변경 요건이 까다로워 사업 참여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서울시는 활발한 용도지역 상향을 유도하고 보다 많은 민간사업자들이 참여하도록 기준을 개선했다. 개선된 기준안에 따르면 앞으로 대지면적 1000㎡이상 대상지를 준주거지.. 1분기 임대사업자·주택↑…2000만 원 이하 소득자 등록 의무화 영향 (그래픽=국토교통부 제공)전국의 신규 임대사업자가 올해 1분기 3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2000만 원 이하 임대소득자 등록 의무화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올해 1분기 3만 명이 임대사업자로 신규 등록해 현재까지 등록된 임대사업자가 전체 51만 10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신규 사업자 수는 지난 분기 2만 2000명 대비 37.1% 증가한 수치다. 서울과 수도권 전체, 지방에서 각각 27.4%, 30.9%, 55.1% 늘어난 결과다. 등록 임대주택도 6만 2000호 늘어나 52.1% 증가를 보였다. 현재까지 등록된 전체 임대주택은 156만 9000호에 달한다. 수도권 전체는 4만 호로 전분기 대비 41.8% 올랐고, 서울은 1만 8000호, 지방은 2만 .. 이전 1 ··· 5 6 7 8 9 10 11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