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43)
강남 3구 전세거래 40% 줄었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지난 1분기 전세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4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학군, 정비사업 이주 등으로 수요는 여전하지만 정부 규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세 물건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1분기 강남 3구에선 5399건의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작년 1분기(8746건)보다 38.2% 감소했다. 교육 이주 수요가 많은 강남구가 2796건에서 1876건으로 32.9% 줄었다. 서초구는 1870건에서 1427건으로 23.7%, 송파구는 4080건에서 2096건으로 48.6% 감소했다. 전세 계약은 한 달 안에 신고하는 만큼 3월 계약 건수는 달라질 수 있다. 강남 지역의 전세 품귀 현상은 올초..
자영업 자금난 특단대책… LTV도 손댄다 [코로나19 LTV 완화로 대출 숨통] 정부가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를 추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현재 연간 1억원 한도로 허용된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을 늘려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뜻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폐업위기에 놓인 자영업자가 늘어나면서 대출이 부실화되고 있고, 연쇄적으로 상업용 부동산에 물린 금융자산의 부실 위험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다만 기존 주택구입용 LTV 규정은 확실히 지켜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LTV 완화가 부동산 정책 기조 변화로 오인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5일 정치권과 관련 당국에 따르면 정책당국은 최근 현재 연간 1억원 한도로 허용된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12·16 대책에 따라..
[머니+ 부동산Q&A] 코로나 정국, 향후 서울 아파트 가격 전망은 Q. 지난해 서울에서 34평형 아파트로 조금 무리해 내집 마련을 했습니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고점으로 국내외 경기영향으로 떨어지고 있다는데요.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A. 코로나 탓에 국내외 경기가 악화 되면서, 주택경기도 위축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서울 주택시장은 정부의 강력한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거래시장까지 크게 위축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일부 분양가가 저렴하거나 미래가치가 높은 상품을 중심으로 실수요 및 투자자들이 몰리며 양극화 현상만 심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 국내외 코로나 정국이 장기화 될 조짐을 보이자 국내 경기침체로 인한 주택시장도 점차 하락할 것이란 전망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하지만 아직 주택가격이 하락 국면에 놓인 것은 아닙니다. 다만 상승률은 조금 줄어든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