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243) 썸네일형 리스트형 뉴타운 해제지역서도 공공재개발 `잰걸음` 과거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구역들이 국토교통부·서울시가 지원하는 공공재개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해제 구역 주민들은 이번 공공재개발 참여를 계기로 꺼져가던 사업의 불씨를 살린다는 계획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 공공기관이 사업에 참여하는 공공재개발은 민간 재개발 방식에 비해 조합 설립이 필요없고 인허가 시간도 크게 단축되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공공재개발은 공공임대 및 지분형 주택 비율(조합원 분양을 제외한 물량의 절반)이 높은 만큼 사업성 문제로 향후 실제 추진 과정에서 정부와 주민 간 마찰이 일어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17일 정비 업계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장위12구역 재개발 준비위원회는 최근 주민 설문조사로 동의율 10%가 넘는 동의서를 확보하며 공공재.. 이재명 "기본주택 '로또임대' 우려... 임대료 너무 낮으면 안 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경기도형 장기공공임대주택인 기본주택의 임대료는 주변 시세에 비해 과도하게 낮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26일 밝혔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경기도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경기주택도시공사(GH)에 신규아파트 공급시 가장 좋은 위치(역세권)에 중산층용의 고급 공공주택을 장기(30년 이상)로 무주택자 누구나 입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도형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지시했고 그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이어 이 지사는 "GH가 기획중인 중위소득 20% 상한으로 ‘관리비 수준’의 임대료는 너무 낮아 ‘로또 임대’가 될 우려가 있다"고 우려했다. 또 "적정하게 낮은.. [단독] 그린벨트 대신… 서울 국책연구기관 땅, 주택 조성 검토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 대책 중 하나로 서울 내 국책연구기관 부지를 공공주택 단지로 재조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대신 국공립 시설 부지를 적극 발굴하기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면서 서울 내 연구기관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선택한 것이다. 연구기관 부지는 서울에 흩어져 있어 주택 수요를 흡수하기 적합한데다 용적률 상향 등이 병행되면 수천가구 수준의 주택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2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세종시로 이전한 국책연구기관들의 옛 부지와 현재 서울에 남은 각 정부부처 산하 연구기관 부지를 주택 공급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주택지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기관 부지 후보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연구기관 건물 등.. 이전 1 2 3 4 5 6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