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43)
"강행이냐 연기냐"… 상한제·우한폐렴에 셈법 복잡해진 분양시장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두 달 여 남은 가운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여파로 분양일정이 차질을 빚으면서 건설사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이달 분양 예정인 단지들 중 상당수는 청약일정을 미루거나 구체적인 날짜를 잡지 못했고, 일정대로 청약을 진행하는 단지 역시 사이버 모델하우스 개관 등 대책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정비사업의 경우 분양이 늦춰지면 추가 이자비용 등도 발생할 수 있어 조합과 건설사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6일 GS건설에 따르면 이달 분양예정이었던 과천제이드자이는 사이버 모델하우스 개관으로 가닥을 잡았다. 앞서 대우건설이 매교역 푸르지오 SK 뷰를 사이버 모델하우스로 대체하고 청약일정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이후 민간업체로는 두 번째다. 서울 첫 분양 사업지였던 서울주..
공시지가 하향 요구 봇물 … `세금폭탄`에 조세저항 커졌다 서울시 일부 자치구가 올해 공시지가가 껑충 뛴 것과 관련해 정부에 하향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등한 공시지가로 보유세(종합부동산세+재산세) 등에 대한 조세 저항 움직임이 커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0년 표준지 공시지가와 관련해 국토교통부에 하향의견을 제출한 자치구 중 강남구, 마포구, 서초구, 성동구의 2019년 부동산 거래내역을 지난달 전달했다. 서울시는 "이번 자료 제출은 공시지가 하향검토 요청이 아닌 주변 표준지 공시지가와의 균형유지 및 적정 평가를 요청한 것"이라며 "공시지가 현실화를 추진해 실질과세 원칙이 이뤄져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서울 25개 자치구 중 국토부와 한국감정원에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 하향 조정을 ..
소규모 정비사업 조합까지 "설명회 오려면 보증금내라" [서울경제]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 참가조건만으로 수 억 원의 현금을 납부하도록 강제하는 정비사업 조합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소규모 정비사업 단지에서도 설명회 참가조건으로 입찰보증금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택지난에 입찰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조합들의 힘이 갈수록 세지고 있어서다. 이런 가운데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동 A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은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내면서 참여하려는 건설사에 입찰보증금 20억원 가운데 10억원을 현장설명회 전까지 납부할 것을 요구했다. 해당 사업은 지하 3층·지상 10층, 79가구 등을 짓는 소규모 정비사업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151가구 규모의 서울 고덕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