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43)
"부동산대출규제, 마이너스 통장 13조원 급증" [파이낸셜뉴스]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로 마이너스 통장이 13조원 이상 급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와 금융감독원 등으로부터 2015년 6월~2019년 6월 한도대출(마이너스 대출)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마이너스 통장 계좌 수는 2015년 6월 375만개에서 2019년 6월 407만개로 늘었다. 잔액 역시 같은 기간 37조원에서 50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5년 동안 계좌는 32만개(9.1%), 잔액은 13조1000억원(22.2%) 증가한 수치다. 마이너스 통장은 신용한도가 정해진 상태에서 약정기간 동안 필요할 때마다 돈을 빌려 쓰는 방식이다. 대출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불확실성 때문에 통상 일반 신용대출에 비해 금리가 높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
"공시가 두 배인데 분양가는 3억 싸다니…"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장 전경.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내년 4월 이전 착공을 목표로 막바지 철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기대치보다 훨씬 낮은 일반분양가가 예상되는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과 올해 초 고분양가 논란을 빚은 `e편한세상 광진그랜드파크`의 엇갈린 운명이 눈길을 끌고 있다. 1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둔촌주공 조합원들은 올해 초 분양한 광진그랜드파크를 비교 단지로 삼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규제 방식에 대한 불합리성을 지적하고 나섰다. 핵심은 재건축 아파트 가격의 객관적 지표라고 볼 수 있는 개별공시지가가 둔촌주공보다 저렴한 광진그랜드파크가 일반분양가는 더 높게 책정된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대..
10억 아파트 복비만 2000만원… 집값 들썩이자 다시 고가 수수료 논란 최근 서울 주택 거래시장이 차츰 활기를 띠면서 지난해 9ㆍ13 대책 후 한동안 사라졌던 고가의 부동산 중개수수료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중개수수료를 결정하는 요율이 집값에 연동돼 있다 보니 최근 몇 년간 가파른 집값 상승으로 수수료 부담이 갈수록 커지기 있기 때문이다. ◇”10억 아파트 거래에 수수료만 2000만원” 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관련 온라인 카페 등을 중심으로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개정에 대한 의견이 자주 올라오고 있다. 실제 지난달 말 청와대 국민청원에 글을 올린 한 청원자는 “10억원짜리 주택을 매매할 경우 중개수수료를 최대 900만원까지 내야 하고, 중개업자가 일반과세자면 부가세 10%까지 얹어 1,000만원 가까운 돈이 수수료로 지불된다”고 불만을 터뜨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