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카(Side Car)의 어원에 대해서는
두가지 설이 있습니다.
자동차가 도로를 달리다
교통 체증이 심할 경우
갓길에 잠깐 주차해놓고 쉬는 것을
비유한 표현이라는 설도 있고,
이륜차 옆에 부착해
사람을 태우거나
짐을 싣는 ‘측차(側車)’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증권시장에서도 사이드카가 활동합니다.
과속하는 주가가 교통사고를 내지 않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프로그램 매매란
어떤 종목을 얼마에 거래할 지
컴퓨터에 미리 입력해놓는 거래방식을 뜻합니다.
코스피 선물, 코스닥 선물 가격이 전날보다
각각 5%, 6% 넘게 등락한 상태가 1분 동안 지속될 경우,
한국거래소는 사이드카를 발동해 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정지시킵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 사이드카가 발동된 사례는
서킷브레이커보다 많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코스피ㆍ코스닥지수가 10% 이상 급등해야 발동되나
사이드카는 선물 가격의 등락률이 5~6%만 돼도 곧바로 발동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례가 더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사이드카를 적용하려면 몇 가지 제한 규정이 있습니다.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 전 이후 발동할 수 없고,
하루 한 차례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이드카보다 한 단계 더 강한 것이 서킷브레이커입니다.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아래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lowcat.tistory.com/294
서킷 브레이커 정의? 의미? 주식시장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서킷 브레이커는 원래 전기회로가 과열될 때 이를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뜻하는 말로 주식 시장에서의 의미는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할 때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시장기능 중지 장치'라고 보면 되겠습..
clowcat.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가 이슈되고 있다. 그 이유는.... (0) | 2020.03.21 |
---|---|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총기 판매 급증 (0) | 2020.03.20 |
서킷 브레이커 정의? 의미? 주식시장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0) | 2020.03.19 |
특별재난지역 선포. 무엇이고 어떤 지원과 혜택이 있는지? (0) | 2020.03.19 |
애플은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일시적으로 매장을 닫았다.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