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도시보증공사

(5)
HUG, 전세자금대출 특약 보증료율 0.05%→0.031% 인하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전세자금대출 특약 보증료율’을 다음달부터 인하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임차인 부담을 줄여주기 위함이다. HUG는 3월2일부터 전세자금을 대출받기 위해 ‘HUG 전세금안심대출보증’을 신청할 경우 대출 특약 보증에 대한 보증료율을 기존 연 0.05%에서 연 0.031%로 38% 인하하기로 했다. 이재광 HUG 사장은 “이번 보증료율 인하를 통해 전세자금 대출 시 임차인의 비용 부담이 완화돼 서민 주거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자금대출 특약 보증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전세자금을 대출받은 임차인이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한 경우 HUG가 반환을 책임지는 상품이다. http://moneys.mt.co.kr/news/..
HUG, 보증보험료 손본다… "전세대출은 낮출 듯" 전세금안심대출보증 개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등 전체 보증상품의 보험료를 재산정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감사원의 지적을 받았던 '전세자금 대출특약보증' 보험료는 인하될 것으로 보인다. 최종안은 1분기 중으로 나올 예정이다. HUG, 연구용역 후 2~3월 이사회 거쳐 보험료 재산정 계획11일 HUG에 따르면 HUG는 지난해 10월부터 '보증상품 보증료율 개선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HUG가 취급하는 모든 보증 상품의 요금이 적합한지를 보고 재산정하기 위해서다. 연구용역 결과가 나온 뒤 오는 2~3월 이사회를 통해 내부적으로 보험료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사회에서 보험료가 확정되면 국토부 승인 뒤 해당 보험료가 적용된다. HUG 관계자는 "아직 연구용역이 끝나지 않았는데 이 결..
건설업 돈줄 조이는 금융권… "삼중고 내몰린 건설업계" 금융권이 올해 상반기 관리업종에 부동산 관련 산업을 포함시키면서 건설업계의 자금 사정이 더 팍팍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부동산·건설 업황을 보수적으로 평가하면서 대출을 조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부동산 규제 강화로 국내 주택 경기가 둔화하고, 해외 수주도 부진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일인 만큼 건설업계는 삼중고를 겪게 됐다. 1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신한·우리·KB국민·KEB하나·NH농협(이름순) 등 5대 시중은행은 부동산개발, 부동산임대, 부동산서비스업을 올해 상반기 관리대상업종에 넣었다. 금융권이 부동산 관련 업종의 향후 전망을 어둡게 본다는 의미다. 은행들은 1년에 두 번 업종별 대출 규모를 자체적으로 산정한다. 관리대상업종으로 지정되면 은행이 해당 업종의 연체율과 업황 등을..